[알고리즘]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를 표현하는 빅오 표기법 (Big O)
·
알고리즘
빅오(Big O) 란? 알고리즘에서 '시간 복잡도'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산 횟수를 말한다. 빅오는 이 시간 복잡도를 정의하여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, 최악(worst case)일 때 연산 횟수를 나타내는 표기법이다. *빅-오메가 : 최선(best case)일 때 연산 횟수를 나타내는 표기법 *빅-세타 : 보통(average case)일 때 연산 횟수를 나타내는 표기법 빅오 차수 n : 입력 데이터의 크기 O : 차수 또는 대략의 차수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에 따라 아래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. O(1), 상수 시간 (가장 낮은 차수) O(log n), 로그 시간 O(n), 선형 시간 O(n log n), 선형로그 시간 O(n^2), 다항 시간 O(2^n), 지수 시간 O(n!), 팩토리얼 ..